생활,부동산

청년도약계좌 자주하는 질문-금융위원회

정보2424 2023. 6. 18. 03:08
반응형

청년도약계좌 자주하는 질문

 

1. 가입대상, 가입신청 관련


1. 프리랜서로 근무하여 4대 보험 가입이 되어있지 않습니다. 이런 경우에도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한가요?

□ 국세청을 통해 본인소득을 증빙할 수 있다면 가입신청이 가능합니다.


2. 가입 후 만 34세를 초과하면 어떻게 되나요?

□ 청년도약계좌는 계좌개설일 기준 가입요건 충족 여부를 판단합니다. 따라서 가입 후 만 34세를 초과하더라도 가입은 유지됩니다.


3. 가입 신청은 ‘23년 6월만 가능한가요?

□ 매월 2주동안 가입신청이 가능합니다.

 ㅇ 월별 신청 가능기간은 서민금융진흥원 홈페이지에 별도로 공지될 예정입니다.

2. 가입요건(개인소득, 가구소득) 확인 관련

4. 작년 개인소득은 있지만, 올해 소득이 없다면 가입할 수 없나요? 납입 중에 직장을 그만둔 경우에는 가입이 취소되나요?

□ 현재 소득이 없는 상태더라도, 작년 소득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가입할 수 있습니다.
□ 일단 가입 중이라면, 중도에 소득이 없어진 경우에도 가입이 취소되지 않으며 만기까지 납입할 수 있습니다.

5. 가입 이후에 소득이 증가하면 가입이 취소되는가요?

□ 가입 이후의 소득 증가하더라도 가입이 취소되지는 않지만, 개인소득 구간 변동에 따라 정부기여금 지급여부 및 규모는 달라질 수 있습니다.


6. 올해 소득기준을 충족해서 청년도약계좌에 가입한다면, 내년에 결혼으로 가구소득 기준을 초과하게 될 경우 가입이 취소되나요? 

□ 가구소득 기준은 가입 당시에만 적용되기 때문에 계좌 유지가 가능합니다.

3. 상품 관련

7. 매월 무조건 70만원을 납입해야 하나요?

□ 청년도약계좌는 자유적립식 상품이므로 가입자는 월 1천원 이상 70만원 이하 범위 내(1천원 단위)에서 자유롭게 납입할 수 있습니다.

8. 5년 만기를 채우지 못하고 중도해지 하게 되는 경우 지원이 없어지나요?

□ 해지사유가 특별중도해지 요건에 해당된다면, 정부기여금이 지급되며 이자소득에 대한 비과세도 적용받을 수 있습니다.
 ㅇ 특별중도해지 요건은 가입자의 사망·해외이주, 퇴직, 사업장의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, 생애최초 주택구입입니다.


9. 청년도약계좌 금리는 단리인가요 복리인가요?

□ 청년도약계좌의 금리는 단리 상품입니다.

10. 정부기여금에 대해서도 이자가 발생하나요?

□ 정부기여금에도 청년도약계좌 기본금리가 적용됩니다.
 ㅇ 정부기여금에 발생한 이자소득에도 비과세가 적용될 예정입니다.

 

청년도약계좌 납입한도

 

· 청년도약계좌의 최대 납입한도가 월 70만원인 자유적립식 상품으로 가입자는 월 1천원 이상 70만원 이하 범위(1천원 단위)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음

 

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지급구조

개인소득 본인
납입한도
()
기여금
지급한도
()
기여금
매칭비율
기여금
한도
()
총급여
기준
종합소득*
기준
2,400만원 1,600만원 70만원 40만원 6.0% 2.4만원
3,600만원 2,600만원 50만원 4.6% 2.3만원
4,800만원 3,600만원 60만원 3.7% 2.2만원
6,000만원 4,800만원 70만원 3.0% 2.1만원
7,500만원 6,300만원 - - -

관련 예시

· (사례1) 총급여 2,200만원 청년

1)40만원 이하 납입시, 해당 월 기여금은 1천원을 납입하더라도 납입금액x6.0%만큼 수령

() 30만원 납입 x 매칭비율 6.0% 월 기여금 1.8만원

2)40만원 초과 70만원 미만 납입시, 해당 월 기여금은 지급한도(2.4만원)만큼 수령

 

· (사례2) 총급여 4,500만원 청년

1)60만원 이하 납입시, 해당 월 기여금은 1천원을 납입하더라도 납입금액x3.7%만큼 수령

() 50만원 납입 x 매칭비율 3.7% 월 기여금 1.85만원

2)60만원 초과 70만원 미만 납입시, 해당 월 기여금은 지급한도(2.2만원)만큼 수령

 

* 취급은행 중 6개 일반은행에서 가입한 경우로, 향후 기준금리가 5년간 변동이 없다고 가정

**

5년간 개인소득(총급여 기준) 2,400만원 이하 : 7.68~8.86%

5년간 개인소득(총급여 기준) 3,600만원 이하 : 7.01~8.19% *

5년간 개인소득(총급여 기준) 4,800만원 이하 : 6.94~8.12%

5년간 개인소득(총급여 기준) 6,000만원 이하 : 6.86~8.05%

 

청년도약계좌 효과

 

 

청년도약계좌-6월 15일부터 운영개시
청년도약계좌 5부제 시행
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
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
청년도약계좌 효과-연 총급여 2,400만원이하
청년도약계좌 효과-연 총급여 3,600만원이하
청년도약계좌 서민금융콜센터

↑청년도약계좌 서민금융콜센터

반응형